전체 글192 [Java] 자바 : 접근 제한자 큰 그림 이해하기 자바를 공부하다 보면 접근제한자라는 개념이 나온다.(public, private, default, protected) 이 접근제한자를 전체 큰 틀에 맞춰 빠르게 이해해보자. 접근제한자란 무엇인가? 공개 범위를 결정하는 하나의 장치 잠금장치를 생각하면 쉽다. 외부인의 차단을 막기 위한 하나의 잠금체계이면서 인가된 사람은 접근을 허용 왜 사용 할까? 말 그대로 접근을 제한한다는 의미이다. 즉 인가되지 않은 사람에게 공유하고 싶지 않는 데이터를 보호함이다. 혹은 인가된 정보끼리는 접근을 허용하겠다는 의미다. 그래서 접근제한자의 종류와 정의를 한다면? public : 완전히 공개하겠다. : 다른 패키지에서 사용가능하도록 하겠다.(클래스, 인터페이스 등 외부로 공개 하는 역할) : But, 패키지를 외부 공개 했.. 2021. 3. 17. [Java] 자바 : static의 개념은 무엇이고 왜 사용할까? static 이란 무엇일까? 영어 사전으로 "고정된"이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어디에 고정되어 있을까? 바로 "메모리"이다. 이 메모리에 자동으로 고정시킴으로써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까지 계속해서 객체 "공유"를 한다는 의미이다. 즉 "공유"라는 핵심적인 키워드만 기억하면 된다. * 변수 ㄴ1. 인스턴스 변수 : 객체 내부에서 존재하는 변수 : static이 없는 일반적인 필드 ㄴ2. 클래스 변수 : 객체 외부에서 존재하는 변수 : static 키드워드가 필드에 적용된변수 * 메소드 ㄴ1. 인스턴스 메소드(static이 포함되지 않은 메소드) : 객체가 동작 시키는 메소드 Ex) 1. car.speed(); 2. void helloworld(){ System.out.println("인스턴.. 2021. 3. 16. [Java] 자바 : 레퍼런스(Reference)란? A) 객체를 가리키는 타입의 큰 카테고리 변수의 타입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1. 기본형 2. 레퍼런스형 (기본형) : 변수를 직접적으로 가리킴 Ex) -1) int -2) double -3) boolean (레퍼런스형) -2) 레퍼런스형 : 변수를 간접적으로 가리킴 = 클래스 타입 = 사용자 정의형 타입 Ex) String Car... Why 사용할까? 즉, 객체 연결을 위한 하나의 타입 장치 2021. 3. 16. [Java] 자바 객체 단계별로 생성 하는 법? 이름이 a카이며 속도가 100이고 무게가 10인 자동차 객체를 생성 하는법? 1. 일반적인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ar c = new Car(); c.name = "a카"; c.speed = 100 c.weight = 10 } } class Car { String name; int speed; int weight; } cs 2. 생성자로 초기화까지 한번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ar c = new Car("a.. 2021. 3. 16. [Java] String.format() 메소드 사용법 String.format() : 형식 문자열을 만들어 주는 메소드 해석? 내제되어 있는 String 클래스의 format 메소드를 사용 사용법? /* 동일 클래스에 user 필드 선언 */ String.format("Hello %s", user); 2021. 3. 11. AWS 환경구성을 위한 기초용어 및 사용이유 모음 * EIP 할당 : AWS의 고정 IP를 Elastic IP(탄력적 IP)라고 한다. 설정하는 이유? : 인스턴스도 하나의 서버이기 때문에 IP가 존재한다. 인스턴스 생성시에 항상 새 IP를 할당하는데, 인스턴스를 중지하고 다시 시작 할 때도 새 IP가 할당이 되버린다. 요금을 아끼기 위해 잠깐 인스턴스를 중지하고 다시 시작하면 IP가 변경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매번 접속해야 하는 IP가 변경돼서 PC에 접근 할 때마다 IP 주소를 확인해야 함. 번거롭기 때문에 IP가 변경되지 않고 고정 IP를 가지게 해야 함. 2021. 3. 8. [Java] 자바 : 쉬운 예시로 생성자 개념 알아보기 Q1) 자바에서 등장하는 생성자 라는 개념이란 무엇일까? A1) 생성자 :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만들어내는 메소드 부연) 자바에서 객체와 클래스의 관계는 땔래야 땔 수 없는 관계이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이 두 가지의 범주에서 생각을 항상 가지고 가야한다. 클래스는 객체를 만들기 위한 하나의 설계도이며 객체는 만들어진 하나의 물품이다. Q2) 그렇다면 왜 생성자를 사용 할까? A2) 객체 생성뿐만 아니라 초기화의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코드가 간결해지게 된다. Ex) 일반적으로는 객체 생성 후 초기화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Car c = new Car(); /* 해당 Car() 부분이 생성자 */ c.name = "abc"; c.speed = 100; c.weight = 10; ↓(생성자 사용) Car c1.. 2021. 3. 7. [IntelliJ] 인텔리제이 한글 깨짐? 인코딩 설정(UTF-8 설정, 한글 설정) IntelliJ 인텔리제이를 초기에 사용하다 보면 한글 깨짐 현상이 발생한다. 필자의 경우 프로젝트 생성 후 초기 설정을 안하여 고생을 했다. 초기에 프로젝트 생성 후 초기 설정을 잡는 습관을 추천한다. [File]-[Settings]-[Editor] -[File Encodings] -Global, Project Encoding, Properties Files 설정을 UTF-8로 변경 이렇게 설정 후에도 해결이 안된다면 아래의 방식을 추천한다. [File] - [Settings] - [Build, Exexcution Deployment ] - [ Gradle ] - 모두 IntelliJ IDEA 로 변경 참고) 참고 [IntelliJ] IntelliJ 인코딩 설정(IntelliJ UTF-8 설정, Int.. 2021. 3. 4. Git 이전 커밋으로 돌리기(reset, revert) Git을 사용 하다 보면, 내가 작성 한 파일들을 전부 삭제 시키고 이전에 성공시킨 커밋 상태로 돌리고 싶을 경우가 있다. 어떤 파일을 작성하고 그 기능을 완성 시켰을 때 주로 커밋을 시키고 푸쉬를 하는데, 그 이후 파일에 코드를 추가하다가 완성시킨 기능이 실행이 안될 때가 있을 것이다. Q) 사용? (hard옵션 을 주면 최근의 커밋을 완전히-작업트리까지- 버리고 이전의 상태로 되돌린다.) git reset --hard HEAD~ 참고) 참고 git revert git reset 차이점 git revert 소스코드를 한단계 이전의 commit 내용으로 롤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git revert HEAD~ 소스코드만 보면 한단계 이전으로 돌아간 것처럼 보이지만, 내부적으로는 새로운 comm.. 2021. 3. 4. BIOS란? A) Basic Input Output System 의 줄임말로 컴퓨터의 기초가 되는 펌웨어이다. 단순하게 입력과 출력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어떠한 장치로 이해하면 좋다. How?) 전체 흐름에서 BIOS가 작동 되는것은 다음과 같다. os를 기준으로 os는 bios 위에서 동작을 하게 된다. os ㅡㅡ bios 2021. 2. 25. 이전 1 ··· 5 6 7 8 9 10 11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