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2 [Windows 10] 윈도우 환경에서 리눅스 사용하기(WSL) 기존에 윈도우 환경에서 리눅스를 사용 할려면 아래와 같은 작업을 거쳐야 했다. - 가상머신을 이용한 다운 하지만 윈도우10에서는 WSL이라는 기능을 지원하는데 WSL이란 Windows Subsystem Linux의 약자로 말 그대로 윈도우에서 서브개념의 시스템으로 리눅스를 사용한다 라는 뜻이다. 왜 나왔을까? 가상머신 툴의 설치를 생략하고 그냥 윈도우10에서 바로 리눅스 환경을 사용하기 위해서 WSL 설치방법? ( 공식 문서 참고하여 천천히 설치 ) : 공식문서를 보면서 천천히 따라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 Windows 10에 WSL(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설치 Bash 터미널을 사용하여 Linux 배포(Ubuntu, Debian, SUSE, Kali, Fedora,.. 2021. 2. 24. [Python] 파이썬 반복문(for문)을 이해하기 전... 우리는 수학연산에서 곱셈을 배우기 이전에 덧셈을 먼저 배운다. 덧셈을 모르는데 곱셈을 배운다는건 곱셈의 원리를 모르고 단순 암기를 하고 있다는것이 되버린다. 아래의 2가지 케이스를 살펴보자 case1) a = 5 b = 10 print(a*b) #50 : 그냥 단순 두 변수를 곱해서 결과를 출력하는 연산이다. case2) a = 5 ans = 0 for _ in range(10): ans += a print(ans) #50 : 곱셈의 원리인 덧셈을 활용한 것. 즉 5를 10번 더한것이 5 * 10이기에 반복문을 통해 해당 결과를 출력 한 것. 순서가 어찌됬든 위의 2가지의 경우 모두를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Case 2의 경우 만약 (파이썬의 경우)로 연산횟수가 약 1000만이 넘어가게 되면 시간.. 2021. 2. 15. [Cloud Service]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념과 형태(IaaS, PaaS, Saas)에 대해서... 클라우드 서비스란, 인터넷을 통해 서버를 제공해주는 하나의 서비스이다. 예를들어 AWS를 생각하면 쉽다. AWS의 경우 물리장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프트웨어 관리 툴 및 Db, Network, 모니터링 등을 제공해준다. 개발자가 해야 할 관리들을 AWS가 전부 지원을 해주는 것이다. 이런 클라우드에도 형태가 존재한다. I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서비스로서의 인프라로 보면 된다. 여기서 말하는 인프라란 Os, Network, 가상 머신 등을 구축 해 놓은 인프라로 생각하면 쉽다. Ex) AWS - EC2, S3 등 PaaS : Platform as Service의 줄임말로 언뜻 보기에는 IaaS와 의미가 비슷해보인다. PaaS는 IaaS를 한 번.. 2021. 2. 14. 24시간 작동하는 서버를 만드는 방법? 1. 집 PC를 이용한 서버 구동 2. 호스팅 서비스(Cafe 24 등..)을 이용한 서버 구동 3. 클라우드 서비스(Aws, Azure, Gcp)를 이용한 서버 구동 생각 해보자) 만약 개인이 서버를 운영하다가 전원이 나가게 된다면?.. 만약 1명이 요청을 하면 문제가 안된다. 하지만 1명이 - > 1000000명이 요청을 하게 된다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버라는것을 증설. 사용자가 24시간 동안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서버는 24시간 1년 내내 돌아간다. 하지만 본인이 단지 토이프로젝트나 듀얼 PC로 어떠한 프로젝트를 하는거면 괜찮다고 생각. 결국 어떤 서비스를 만드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선택의 범위는?? "호스팅 서비스 vs 클라우드 서비스" 그렇다면 선택의 기준은? 1. 비용 .. 2021. 2. 14. .gitignore 를 사용하는 이유와 작동하지 않을 때 해결방법 .gitignore를 사용하는 이유? .gitignore를 사용하는 많은 이유 중 내가 기준으로 잡은 이유는 아래와 같다. 보안 비밀과 관련된 정보를 github에 올리기 싫을 때 예를들어 GCP에서 웹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로그인 서비스를 이용한다 했을때 클라이언트 Id와, 클라이언트 보안비밀 코드는 당연히 올리면 안된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고자 .gitignore 파일에 해당 정보를 올려놓는것이다. 뿐만 아니라 API Key value 값 .gitignore 파일에 올려놓는다. 쉽게 말해 남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는 혹은 보여주면 안되는 내용들을 push 할 때 빼놓는 것이다. 작동하지 않을 때 대처법? .gitignore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ignore된 파일이 changes에 나올 때가 있는데... 2021. 2. 11. 한번에 이해하자! 로컬 호스트(localhost)에 대한 개념 그리고 127.0.0.1 ?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localhost 8080 혹은 127.0.0.1 이라는 개념을 접하게 된다.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localhost는 무엇이며 8080은 무엇이고 127.0.0.1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간단하게 살펴보자. localhost 개념 단어 그대로 풀게 되자면 지역 호스트 라는 의미를 뜻한다. 즉 어느 지역의 주인을 의미한다. 단어 그 자체로 보면 머릿속에 그려지지가 않는데 아래의 방식대로 이해해보자. 우리는 현재 우리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PC가 host가 된다. 즉 내 PC를 알려주는 하나의 개념이다. 마치 우리의 집주소처럼 그렇다면 localhost 8080에서 8080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8080은 포트(port)라는 개념을 의미한다. 이 포트의 개념을.. 2021. 2. 7. [티스토리 블로그] 리스크 관리 : 구글 애드센스 무효 트래픽 방지하기(방문자 IP추적) 블로그를 운영하며 생길 수 있는 리스크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특히 수익과 직결되는 부분이라면, 리스크 관리는 민감하게 반응 할 수 밖에 없다. 구글 애드센스 무효 트래픽과 무효 트래픽 방지에 대해 알아보자. 어떤 일이 일어났을 때 처리하는 것보다 어느 일이 일어나기 이전에 미리 리스크를 예방하는것에 초점을 맞춰 글을 작성하였다. 구글 애드센스 무효 트래픽이란? : 내가 무작위로 부정클릭 하는 것과 타인이 무작위로 클릭 하는것을 의미하게된다. 맨 처음 애드센스를 달게 되면 잘 작동하고 있는지 테스트를 하기위해 클릭을 하는데 이 역시 무효 트래픽으로 정의가 된다. 또한 지인에게 부탁을해서 클릭을 부탁 하는 행위역시 마찬가지다. 즉, 고의적으로 애드센스 광고에 트래픽을 증가시킨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그렇기에.. 2021. 1. 28. [Baekjoon] 백준 1110번 더하기 사이클(파이썬 Python) [Baekjoon] 백준 1110번 더하기 사이클 (파이썬 Python) * 문제출처 : 백준 알고리즘 문제 1) 문제 백준 1110번 더하기 사이클 파이썬 1110번: 더하기 사이클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 그 다음, www.acmicpc.net 2)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N = input() if(int(N) 2021. 1. 18. [Node.js] Node.js에서 npm과 npx의 차이? npm Node Package Manager 의 줄임말로, 노드에서 패키지 "관리"를 담당한다. Node js는 서버측에서 작동하는 자바스크립트이다. 서버측에서 실행 환경을 담당할 하나의 패키지가 필요한데 그 패키지 관리자의 역할을 npm이 담당한다. npx Execute npm package binaries 의 줄임말로, npm에 속해있으며 npm을 실행시켜주는 "실행" 도구이다. npx는 해당 패키지를 다운이 아닌 실행만 시켜주기 때문에, 가볍게 사용이 가능하다. npm 레지스트리에 올라가 있는 최신 버전을 실행해주는 역할을 한다. Npx를 조금더 이해할려면 Npx라는 개념이 왜나오게 되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왜 npx라는 개념이 나오게 되었을까? npm이 가진 기존의 문제점을 살펴볼 필요가 .. 2021. 1. 15. [Baekjoon] 백준 10951번 A+B - 4(파이썬 Python) [Baekjoon] 백준 10951번 A+B - 4 (파이썬 Python) * 문제출처 : 백준 알고리즘 문제 1) 문제 백준 10951번 A+B - 4 10951번: A+B - 4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2) 코드 1 2 3 4 5 6 7 8 while True: try: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except: break cs 3) 풀이 문제 내용 中 "입력은 여러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라는 말에 착안을 해야 한다. 두 정수 A,B가 들어 왔을 경우 합을 출력하도록 하며. 두 정수 A,B의 경우가 아닌 그 이외의 자료형의 형태가 오게 되면 except .. 2021. 1. 13.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