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2 [Java 자바] 코딩 테스트 입문자를 위한 static 개념 static에 대한 개념을 책으로 수백번 찾아 보는것보다는 코드로 이해하는게 100배 나았던 경험이 있다. 코드로 한번에 static 개념을 이해해보자. 우선 가져가야 하는 큰 개념은 아래와 같다. ``` 1) 온라인 컴파일러(Repl.it or 프로그래머스 에서 제공하는 컴파일러 등)가 시작 함수를 main class의 main method를 지정 해야 한다. 그렇기에, 초기 프로그램 실행 시 시작 함수 (main method)를 호출해야만 한다. 2) main method가 memory에 있어야 한다. (그래야 실행되니까) 3) memory(메모리)에 있으려면? -1) static으로 선언을 하거나 -2) new Class()(생성자 형태로) ```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 이때 클래스이름이 무조건 M.. 2021. 7. 5. [Java 자바] 클래스(class) 개념과 학습방향 한방에 이해하기 이글은 자바에 해당하는 클래스의 개념에 대해 적어놓은 글입니다. 자바를 처음 입문하신 분들에게 클래스가 무엇이고, 어떻게 쓰이는지 혹은 어디서 어떻게 클래스 정보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가장 원초적인것에 초점을 맞춰 기술 하였습니다. System.out.println() 뭐지?.. 아마 c언어를 먼저 하신분들이 java로 넘어오면서 드는 생각은 아래와 같을 것 입니다. c언어에서 pirntf()로 표현되는것과 달리 자바에서는 System.out.printf()이라는 표현을 바탕으로 출력을 하고 있습니다. 참 아이러니 합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쓸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우선 System.out.println()에서 System을 호출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패키지에서 불러오게 됩니다. S.. 2021. 7. 4. 개발 지식 100%로 내것을 만들기 위해 TIL 운용 가이드 만들기 1. 나는 기본적으로 Github의 TIL 리포를 만들어 관리를 하고 있다. 하지만 시간에 좇겨 빠르게 만들다 보니 깊이가 다소 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점을 보완하고자 해당 카테고리를 만들어 운영을 할 생각이다. 2. 나는 주니어 개발자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장을 위해서라면 기록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3. 기본적으로 TIL 외에도 내가 느꼈던 단순한 생각들도 일기 형식으로 올릴 예정이다. 다만 그냥 단지 올려놓는 짧막한 글이 아니라 어떠한 배경과 어떤 문제에서 그런걸 느꼈고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초점을 맞춰 글을 올릴 생각이다. 4. 기본적으로 개발에 초점을 맞춰 TIL을 운용하기도 하지만, 그 외에도 IT 관련된것들 중에서도 공부하면서 느꼈던 것들을 일기형식으로 풀어낼 것이다. 시각화를 .. 2021. 6. 27. [Visual Studio Code] Vscode 설치 후 해야 할 것들?(Extension) 맨 처음 개발을 시작하면 Vscode를 먼저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난뒤 여러 IDE를 접하고 나면 Vscode에서 이러한 기능이 있었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한다. 나는 일반적으로 아래의 경우가 가장 필요했고 다음과 같이 진행을 하였다. 1. 디렉토리 분류 하게 끔 설정 : View 영역 VS code 디렉토리 폴더 구조 View 바꾸는 방법! Visual Studio Code는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편집기 중 하나 일것입니다. 사용자가 많다는 것은 수많은 확장앱들을 통해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이러한 VS Code를 쓰면서 짜 jogakjungbo.tistory.com 2. Icon 설치(가독성 위해) : material icon theme(아이콘 최적화) 3. 테마.. 2021. 6. 19. [Java 자바] 문자열에서 ==와 equals() 코딩테스트를 준비하다가, 문자열 같다는 표기에서 자꾸 오류가 나서 알아보니 다음과 같더라... Problem) 문제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순한 변수를 선언 했을 때 비교와 2. 생성자를 통해 변수를 생성했을 때의 비교 Solution) 자바 ==와 equals() 차이 알아보기 자바 처음 하면 다들 하는 실수인데 나도 처음에 이걸로 개삽질 꽤 한거 같다 보면 String a나 b나 똑같은 haha라 비교 시 당연히 True가 뜰 것 같은데 예상을 뒤엎고 false가 뜬다 아니 똑같은 haha인데 flatsun.tistory.com 2021. 6. 19. [Database] 데이터베이스에서 Index란?(초간단 주의) 어느 책을 보던 건에 책의 맨 앞에 라는 부분이 나와있다. 이는 해당 부분이 어느쪽에 나와있는지 알려주는 지표의 역할을 한다. 책에서 우리가 원하는 내용을 찾을 때 책의 모든 책을 찾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며 시간이 오래걸린다. 그렇기에 index를 통해 우리가 원하는 해당 부분으로 빠른 접근을 할 수 있게 한다. A) Db 자료구조이다. Why? 테이블에서 검색속도를 빠르게 해주기 위해 사용한다. 2021. 5. 27. 개발자 필독서! 클린 코드(Clean Code) 리뷰 개발 역량에 있어 가장 필요한것이 있다면, 스스로 학습하는 역량이라고 생각한다. 그 중 먼저 나아간 개발자 분들의 영상을 보면 한결같이 Clean Code 책을 언급을 한다. 간단한 소개를 하자면 책 표지에 "애자일(Agile) 소프트 웨어 장인 정신"이라고 나와있다. 여기서 말하는 애자일 방식이란 어떤것을 의미할까? "전체적인 흐름을 통제하고, 리팩토링도 쉽게 하려는 하나의 방법론적인 방식이다." 즉, 어떻게 코드를 짜야 하는가에 대한 방법론적인 책이다. 1회독을 한 입장에서 내 레벨에 눈에 들어오는건 단 1가지 밖에 기억이 없다. 변수명, 함수명은 의미있게 지어야한다는 것. 이 책에서 주장하는 여러가지 방법론을 익히기 위해 계속해서 개발 레벨업을 해야 겠다. 그리고 이글을 계속해서 수정해 나가야겠다... 2021. 5. 25. [Data Structures 자료구조] 스택(Stack)과 큐(Queue) 그림으로 이해하기 Stack ,Queue를 왜 사용할까? 책을 쌓을 때 방바닥에서부터 쌓을 수도 있지만, 옆으로 책을 넣을 수도 있듯이, 컴퓨터 체계에서도 이와 같은 책과 같은 데이터들을 쌓는 방식이 존재한다. 즉 데이터를 보관 하는 방법이 필요한 셈이다. - Stack 이란 무엇인가? 영어 사전 그대로 Stack 어떠한 더미를 의미한다. 게임 중 롤을 하다 보면 나서스 스택을 쌓는다 라는 표현을 들어봤을 법하다. ㅣ 3 ㅣ ㅣ 2 ㅣ ㅣ 1 ㅣ ㅡㅡㅡㅡ 가장 먼저 들어온 1번이 가장 마지막에 나간다. 2번 3번이 나가야 꺼낼 수 있으니까. - Queue란 무엇인가? 영어 사전 그대로 "줄"을 의미한다. 우리가 음식점 맛집에서 음식을 먹을려면 줄을 기다리는것과 같다. 즉 먼저 선 사람이 먼저 음식점에 들어가 음식을 먹을 .. 2021. 5. 21. [Data Structures 자료구조] 전체 살펴보기 및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 과거 자료구조를 모르고 공부했을 당시, 주변에서 자료구조를 해야한다라고 말은 들었지만, 어떻게 해야하는지 방법을 몰랐었다. 하지만 지금 시행착오를 겪고나 보니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하는것도 괜찮다라는 생각이 든다. 자료구조를 하나부터 열까지 Low하게 짜서 공부하는것도 필요하지만, 시간이 없을 경우 해당 "그림"으로 개념을 우선시 파악하고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우선적으로 학습하는것도 필요하다. 즉, 해당 언어별로 지원하는 라이브러리를 우선적으로 쓰고 코딩테스트에 집중하는것을 목표삼는것이 오히려 더 낫다. 또한 해당 자료구조를 "그림"으로 기억한다면 어떠한 언어를 바탕으로 코딩 테스트를 접하게되더라도 쉽게 풀어 낼 수 있다. 즉 핵심은 같고 표현하는 방식만 다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그림"으로 기억하는.. 2021. 5. 21. [파이썬 Python] 온라인 코딩 테스트(알고리즘)를 위한 나만의 팁 노트 모음집 오직 코딩 테스트(알고리즘)를 위한 나만의 팁들을 적어놓은 글입니다. 파이썬 코드의 이점상 특정 라이브러리를 쓰면 편한 경우도 많지만, Low한 언어를 기반과 덧붙여 학습한다면 보다 쉽게 이해 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특정 기업에서는 언어를 지정하여 해당 언어만으로 테스트를 볼 수 있도록 지정 해 놓는 경우가 있기에, 더욱 더 Low한 풀이에 신경을 써야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그래야만 해당 언어의 자료구조로 만으로도 쉽게 풀이가 가능하다고 느꼈기 때문입니다. (1) 리스트 안에 'A'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코드 1 2 3 4 5 6 7 8 list = ['a', 'b', 'c'] is_a_Exist = False for i in range(len(list)): if(list[i]=='a.. 2021. 5. 17. 이전 1 2 3 4 5 6 7 8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