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2

[Python] 파이썬 : 리스트(list) 관련 내장 함수, 메소드(method) 정리 리스트의 개념과 사용법을 알게 되었으면, 리스트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메소드를 다룰 줄 알아야 한다. 기본적으로 어떤 데이터를 삽입, 삭제, 변경, 정렬, 탐색, 등 하는 것처럼 말이다. 크게 2가지로 기본적으로 내장 함수와 메소드에 대해 정리하였다. 본문으로 넘어가기 전 간단하게 체크하고 가자. list = [ element1, element2, .. ] [] - 리스트 : 감싸고 있는 자료의 형태 element1, element2 - 리스트 안에 있는 자료 데이터 리스트 관련 내장 함수 * max(list) : 리스트 안에 있는 element의 최댓값 반환 1 2 3 4 list = [1,2,3] max(list) # 3 cs * min(list) : 리스트 안에 있는 element의 최솟값 .. 2020. 10. 27.
[Python] 파이썬 : 딕셔너리(Dictionary) 개념 딕셔너리(Dictionary) 개념? : 자료를 저장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택배를 통해 물건을 보관하여 전송할 때 그 물건을 박스에 담을 수도 있고 뾱뾱이로 채워진 비닐류에 담을 수도 있다. 또한, 큰 박스가 있으면 택배 하나에 여러 가지 물건을 담아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여러 가지 물건을 담을 수 있는 큰 박스에 해당하는 것은 아래와 같이 있다. 변수명1 = { } - 딕셔너리 변수명2 = [ ] - 리스트 변수명3 = ( ) - 튜플 딕셔너리 개념을 보자 딕셔너리 영어단어를 보면 사전이다. 영어사전을 생각해보자 어떤 영어 단어와 한글 뜻 이렇게 2가지가 쌍을 이루어서 정리가 되어있다. 이런 사전과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게 된다. Ex) 영어사전으로 book을 찾아보면 아래와 같다. b.. 2020. 10. 26.
[Windows] 윈도우10 : 명령 프롬프트(CMD) 관리자 권한 단축키 가끔씩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해야 할 때가 있다. 이때 가장 많이 사용해왔었던 방법은, 해당 이미지에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하였다. 하지만 번거롭게 찾아 클릭하는것보다 명령어로 직접 찾아 하면 단계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으로 작업을 진행 할 수 있다. 실행방법 : cmd 입력 후 -> ctrl + shift + Enter * CMD 실행은(명령어 기반으로) 크게 2가지가 있다. 어느 것을 사용해도 괜찮다. 1) Windows 키 - > [ cmd ] 입력 2) Windows + R키 - > [cmd] 입력 * 이 상태에서 Enter가 아니라 Ctrl + Shift + Enter 2020. 10. 25.
[Python] 파이썬 : 반복문 while()문 기초 예시 파이썬에서 반복문 while()에 관한 이야기이다. 우리가 수학적으로 1부터 10까지 합을 구한다 했을 때 효율적으로 구하는 방식 중 하나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0 + 9 + 8 + 7 + 6 + 5 + 4 + 3 +2 + 1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 x 10) / 2 = 55 이렇게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방식도 좋지만 우리는 컴퓨터 체계에서 이해를 해야 한다. 그렇다면 컴퓨터가 이해하는 체계란 무엇일까? 기본적으로 변수가 이용되기 때문에 이 변수를 최대한 활용을 해야 한다라고 생각한다. 역설적으로, 최대한 활용을 못한 극단적인 예시를 생각해보자 a = 1 b = 2 c = 3 d = 4 e = 5 ... j= 10 ㅡㅡㅡㅡ.. 2020. 10. 24.
[Python] 파이썬 : 아스키코드 <-> 문자 변환 함수(ord(), chr()) 아스키코드와 문자 변환을 하는 함수는 크게 2가지(ord(), chr()) 컴퓨터가 이해하는 기본적인 체계는 숫자로 된 비트체계이다. 문자를 숫자로 표현한다면, 매우 복잡해질것이다. 간단히 A라는 문자를 입력해야 하고 싶은데 숫자를 입력해서 몇번 째 해당하는지를 찾는다는건 사실상 매우 귀찮다. 그래서 사람들이 편하게 사용하고자 각각의 숫자 번호에 맞게끔 각 문자를 매칭시켜놨다. 각 아스키코드에 해당하는 문자가 몇인지는 외우는게 아니라, 직접 함수를 써서 뽑아 보는것만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알고리즘 문제에서 굳이 리스트로 a to z , A to Z의 값을 리스트화 시켜서 풀어도 되지 않기에 매우 편한 함수이다. 문자 A 너는 아스키코드 값이 몇이니?(ord()) 1 2 ord('A') # 65 .. 2020.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