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스키코드와 문자 변환을 하는 함수는 크게 2가지(ord(), chr())
컴퓨터가 이해하는 기본적인 체계는 숫자로 된 비트체계이다. 문자를 숫자로 표현한다면, 매우 복잡해질것이다.
간단히 A라는 문자를 입력해야 하고 싶은데 숫자를 입력해서 몇번 째 해당하는지를 찾는다는건 사실상
매우 귀찮다.
그래서 사람들이 편하게 사용하고자 각각의 숫자 번호에 맞게끔 각 문자를 매칭시켜놨다.
각 아스키코드에 해당하는 문자가 몇인지는 외우는게 아니라, 직접 함수를 써서 뽑아 보는것만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알고리즘 문제에서 굳이 리스트로 a to z , A to Z의 값을 리스트화 시켜서 풀어도 되지 않기에 매우 편한 함수이다.
문자 A 너는 아스키코드 값이 몇이니?(ord())
| 
 1 
2 
 | 
 ord('A') 
# 65 
 | 
cs | 
아스키코드 값 65 너는 어느 문자에 해당하니?(chr())
| 
 1 
2 
 | 
 chr(65) 
# 'A' 
 | 
cs | 
'*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ython] 파이썬 : 딕셔너리(Dictionary) 개념 (0) | 2020.10.26 | 
|---|---|
| [Python] 파이썬 : 반복문 while()문 기초 예시 (0) | 2020.10.24 | 
| [Python] 파이썬 : 문자열 추출(Slicing) (0) | 2020.10.24 | 
| [Python] 파이썬 변수값 바꾸기(Swap) (0) | 2020.10.11 | 
| [Python] 파이썬 리스트(list)개념과 사용법 (0) | 2020.10.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