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1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버전? ECMA Script에 대한 이해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를 쓰던 버전에 대한 이해는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특히 파이썬의 경우를 보면 쉽게 이해가 가는데 파이썬 2.x와 3.x에 대한 버전의 차이는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이 글을 쓰게 된 이유는 JavaScript라는 버전 또한 역시 버전이 존재하는 건 당연시 하지만, 그 이름이 다소 생소하여 정확히 인지하고자 작성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Js.ver x.x 로 될 줄 알았지만, JavaScript에 대한 버전은 ECMA Script Number 앞글자를 따서 ES5, ES6, ES11... 이렇게 나타낸다. 이름의 유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ECMA Script 란, ECMA라는 곳에서 표준화시켜 놓은 스크립트를 의미한다." 정 리 그냥 JavaScript라는 언어를 표준화를 위.. 2021. 1. 4.
동기(Synchronous)와 비동기(Asynchronous) 방식의 차이점 비동기를 알기 위해서는 동기를 먼저 정확히 알아야지만 동기의 범위에서 비동기를 이해할 수 있다. 이 글은 동기와 비동기에 대한 전체 큰 그림을 잡기 위한 글이다. 비동기라 불리는 대표 방식인 Node.js로 살펴보자 서버 환경에서 작동하는 자바스크립트인 Node.js가 왜 나오게 됐을까? 어떠한 기술이 나오게 됐다는 이면에는 어떠한 기술을 사용하기 이전에 불편함이 있었다는 말이다. 기존의 웹 서버들은 대부분 스레드를 기반인 동기 방식으로 처리를 하였다. 하지만 이 방식에 불편함이 있다 보니 이벤트 기반으로 하는 비동기 방식으로 처리하는 Node.js가 나오게 되었다. 즉, Node.js는 스레드를 신경 쓰지 않고 개발할 수 있게 만든 비동기 방식의 자바스크립트이다. ps) 일반적으로 스레드는 개발자가 몰.. 2021. 1. 2.
[Python] 파이썬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란? 이 질문에 대답을 하기전, 우선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나누어지는 기준을 알아야 합니다. 크게 절차 지향 언어와, 객체지향 언어입니다. 대략적으로 절차 지향 언어는 C언어를 생각하시면 되며, 객체 지향 언어는 Python의 예시를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C언어의 경우는 오로직 위에서 아래로 흘러가는 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Python의 경우는 이와는 별개로 독립적인 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Ref) 2020/12/30 - [* IT/Dictionary] - 객체지향 언어를 위한 필수 지식 : 객체(Object)와 클래스(Class) 개념 객체지향 언어를 위한 필수 지식 : 객체(Object)와 클래스(Class) 개념 객체지향 언어를 공부하다보면(C++, Java, Python 등.... 2020. 12. 31.
객체지향 언어를 위한 필수 지식 : 객체(Object)와 클래스(Class) 개념 객체지향 언어를 공부하다보면(C++, Java, Python 등..) 항상 나오는 개념이다. 객체와 클래스라는 개념은 항상 등장한다. 이 글은 객체와 클래스의 개념적인 "그림"을 그리기 위해 작성한 글이다. 객체(Object)란? 어렵게 생각하지말자 지금 모니터로 보고있는 PC이든, 핸드폰이든, 태블릿이든 사람, 자동차, 키보드, 마우스 등... 모든 것이 객체의 개념이다. (이미지를 생각하면 좋다) 객체(Object)를 분해해보자 특성 + 행동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이 2가지를 기억해야 한다. 사람 ㄴ 특성 : 이름, 나이, 성별, 연락처, 거주 지역 등.. ㄴ 행동 : 걷기, 달리기, 등 자동차 ㄴ 특성 : 브랜드, 차종, 색상, 주행거리 등.. ㄴ 행동 : 전진하다, 후진하다, 와이퍼 작동하다, 급.. 2020. 12. 30.
쉽게 이해하는 전송방식의 차이 : TCP와 UDP 차이 기본적인 OSI 7 Layer를 알면 더 좋지만, 이 글은 OSI 7 layer에 대한 지식 없이 쉽게 이해하도록 글을 작성하였다. 또한 깊이 있는 특징이나, 전문적인 예시는 빼고 머릿속에 그림을 그리는 것을 목표로 글을 작성하였다. 우리가 컴퓨터로 어떠한 데이터를 보내기 될 때 전송하는 방식이라는 게 존재한다. 그 방식들 중 TCP와 UDP라는 개념이 있다. 즉 전송방식에 TCP와 UDP라는 개념이 있다라고만 알고 이 글을 읽어 나가자. * 패킷이란?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쉽도록 자른 데이터 전송 단위 각 OSI 계층별로 데이터가 불려지는 이름은 달라진다. 하지만 이 글은 전체 흐름을 잡는 것이기 때문에 그냥 데이터 = 패킷이라고 받아들여도 괜찮다. 나중에 세부적으.. 2020. 1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