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2

[Python] 파이썬 : 문자열 추출(Slicing) > 문자열을 원하는 것만큼 추출하고 싶을 때가 있을 것이다. 문자열을 자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이 있다. 1. 원하는 인덱스에 위치하는 하나의 문자열 값 출력 2. 범위에 걸친 문자열 값 출력 하나의 인덱스에 위치하는 값 출력 1 2 3 4 string = "Hello python" print(string[0]) # H 출력 cs 범위에 걸친 값 출력 Hello를 출력하고 싶다.(Hello뒤에 빈칸 없이) (1) i>0 일때 1 2 3 4 string = "Hello python" print(string[0:5]) # Hello cs (i) i 2020. 10. 24.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원하는 구구단 결과값 입출력(Math 객체 활용) 자바스크립트 원하는 구구단 결과값 입출력(Math 객체 이용) 난수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원하는 구구단 결과값을 출력해주는 간단한 코드이다. > 1.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다. 2. 원하는 구구단의 단수를 변수 2개로 지정하여 시스템 값을 미리 계산해놓는다. 3. 값이 맞고 확인을 누르면" 정 답 "이라 출력 4. 만약 다르면 "다시 생각해보세요" 라는 문구가 출력.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JavaScript Basic function randomInt(){ return Math.floor(Mat.. 2020. 10. 23.
[한번에 이해하는 개념] JSON 이란? react를 공부 중 정리하면 좋을 것 같아서 JSON 개념을 적기 시작했다. JSON 개념? Java Script Object(객체) Notation(표기) 의 줄임말로, 단어 기준 그대로 자바스크립트를 객체로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무슨 말인데? 왜(Why) 사용하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어떤 값을 요청한다고 했을 때를 생각해보자. 날짜, 시간, 해당id, 요청자료 이렇게 4개를 보낸다고 가정했을 때 보낼 수 있는 형식들은 무궁무진하다. 예를 들어 (1) 날짜 : 2020-01-01 시간 : 00:00:00 id : random 요청자료 : sequence_1 (2) 날짜, 시간, id, 요청자료 = {2020-01-01, 00:00:00, random, sequence_1} (3) {(날짜, 202.. 2020. 10. 23.
[React] 리액트(React) 온라인 코드 편집기로 Hello World 출력(2/2) Vs code로 환경설정을 일일이 하기 귀찮을 때가 있다. 그 때는 React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해주는 튜토리얼을 통해 간단한 테스트를 할 수 있다. React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해주는 온라인 코드 편집기는 크게 4가지이다. 1. CodePen 2. CodeSandbox 3. Glitch 4. Stackblitz 각 사용해보고 싶은 것들을 들어가서 이용하면 된다. > React 공식 홈페이지 시작하기 – React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ko.reactjs.org * 공식 문서를 들여보는 습관을 항상 습관화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2020. 10. 22.
[React] VS Code에서 리액트(React) Hello World 출력(1/2) Front End Framework에서 가장 핫한 React를 한번 다뤄보고 싶었다. React를 Visual Studio Code(VS Code)에서 활용하여, 가장 기본적인 Hello World를 출력하는 과정이다. Node.js 설치 과정은 생략했다. > : Node.js 설치 * C드라이브나 D드라이브에 작업할 디렉토리 생성 * 해당 파일을 Vs Code로 열기 * 터미널창 띄우기 * npx create-react-app my-app 입력 * 설치 중.... (시간이 걸린다.) * 설치 완료 my-app 이란 폴더가 새로 생성됬다. * cd my-app 입력 * npm start 입력 * 아래와 같은 창 실행 확인 * VS Code에서 App.js 클릭 : 아래 화면에서 .. 2020. 10. 21.
[Chrome] 구글 크롬(Chrome) 실행시 로그인 창(새 탭) 삭제 및 생성 하는법 크롬 실행시 자동으로 로그인 새탭이 열리는걸 끄고 싶었다. 여러가지 설정을 건드린 후에 알게 되었다. 아래와 같이 따라하면 설정을 변경 할 수 있다. 1단계 : 설정 창 클릭하기 2단계 : 동기화 및 Google 서비스 클릭하기 3단계 : Chrome 로그인 허용 활성화 끄기 - 활성화 탭 사라짐 (반대로 활성화 시키려면, 새 탭 다시 활성화) 2020. 10. 21.
[Java] 자바 : JVM이란? [Java] 자바 : JVM 개념 Java Virtual Machine의 줄임말로 자바 가상 머신이라고 의미한다. 모든 개념적 정의는 개념어에서부터 시작된다. Virtual(가상)의 의미가 가장 핵심이 된다. Virtual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운영체제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운영체제에는 크게 Windows, 맥, Linux이 존재한다. 그중 맥에서 맥 위에 올라가는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Object-c나 Swift를 사용하여야 한다. 즉, 각 운영체제 위에 올려서 프로그램을 제작하려면 각 운영체제에서 요구하는 언어를 배워야 한다. 만약 운영체제가 1개면 그렇게 배울수 있겠지만 2개 3개.. 4개.. 5개.. 등 계속해서 올라가 버린다면 배워야 할 언어들은 산더미처럼 쌓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 2020. 10. 18.
[C언어] C언어를 배워야하는 이유(주관적인생각)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기 시작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C언어를 먼저 공부를 하거나 혹은 해당 언어를 바탕으로 첫 프로그래밍을 배우기 시작한다. 딱딱한 책과 익숙치 않은 어려운 영어들을 보면서 계속해서 흥미를 잃어간다. 그리고 속으로 생각한다. '아... 프로그래밍은 내 길이 아닌가?' 왜 C언어를 왜 배우는지도 안알려주고, 왜 이것부터 해야하는가? 누군가 속시원하게 알려주지도 않고 참고 C언어를 계속해서 학습 해나간다. 그러다 포인터부분에서 딱하니 막히기 시작하고, 아에 손을 놔버리게 된다. 아마 이글을 읽을려는 분들은 왜 C언어를 배워야 하는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을 하고 있으며, 답답한 마음에 검색하여 들어왔을거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C언어를 왜 배워야 하는가에 대해 내 개인적인 의견을 적.. 2020. 10. 17.
[Windows] 윈도우10 설치없이 연속적인 스크린샷 찍는 법 화면 스크린샷을 찍을 때 마다, 한번 스크린샷 찍고 작업하고 찍고 작업하고 비효율적으로 해왔었다. 그러다 한번에 설치없이 연속적인 스크린샷을 찍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별도의 설치없이 Windows 자체적으로 지원해주는, 스크린샷을 정리하였다. 이왕 필요해서 찾은김에 나머지 모두도 정리하였다. 설치없이 연속적인 스크린샷 찍는 법 1. PrTSc + 윈도우 키 : 항상 PrtSc을 사용만 하던 나에게 이 기능은 매우 만족스럽다. 바로 연속적으로 스크린샷을 찍기가 가능하다. 일일이 한번 스크린샷을 찍고 작업하고 찍고 작업하지 않아도 된다. 필요한 장면들을 한 번에 다 찍고 나서, 작업이 가능하다. : 스크린샷 경로 확인? 내 PC - 사진 - 스크린샷(스크린샷이 자동저장 됨) PrtSc 버튼을 이용한 스크.. 2020. 10. 16.
[programmers] 프로그래머스 Level1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파이썬 Python) [programmers] 프로그래머스 Level1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파이썬 Python) * 문제출처 :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알고리즘 문제 프로그래머스 Level1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1) 문제 프로그래머스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코딩테스트 연습 -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두 수를 입력받아 두 수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배열의 맨 앞에 최대공약수, 그다음 최소공배수를 넣어 반환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두 수 3, 12의 programmers.co.kr 2) 풀이 과정 유클리드 호제법을 이용하여 풀이 > 2020/10/13 - [* Algorithm/theory] - [Algorithm] 알고리즘 .. 2020.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