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응답코드를 쓸까?
우리가 웹사이트에서 요청을하고 서버에서 응답을 받을 때에는 http라는 프로토콜을 통해 서로 통신을 하며 데이터를
주고 받게 된다.
클라이언트가 요청(Request)한것에 대해 응답(Response)을 할 때
너가 요청한것을 잘받았어의 경우는 무수히 많다.
Good, Great, Ok, Nice 등. 우리 사람의 경우는 바로 이해 할 수 있지만, 컴퓨터체계에서는 이것을 이해 할 수 없다.
숫자로만 상호작용하는 컴퓨터를 위해 약속을 한것이다.
* 잘된것의 경우는 -(너의 요청을 잘 받았어)
: 2xx
* 잘 안되는 경우는
ㄴ 클라이언트(너가 잘못 보낸거 같은데?)
: 4xx
ㄴ 서버 문제(우리측 문제야)
: 5xx
이 외에도
1xx, 3xx도 있지만 자세한건 이 글에서 다루지 않는다.
'*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게 이해하는 전송방식의 차이 : TCP와 UDP 차이 (0) | 2020.12.29 |
---|---|
인터넷(Internet), 웹(Web), 이더넷(Ethernet)의 차이 (0) | 2020.12.28 |
네트워크(Network)와 네트워킹(Networking) 차이점 (0) | 2020.12.27 |
TCP/IP란 무엇이며 왜 배워야 하는가?(+프로토콜 개념) (0) | 2020.12.25 |
댓글